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ex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num = sc.next();
//System.out.println("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 " + str);
if (num.equals("Rode")) {
System.out.println("하읔");
}else {
System.out.println("하옼");
}
}
}
//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받아 판단하기.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ex03_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첫째 값");
int num1 = sc.nextInt();
System.out.println("둘째 값");
int num2 = sc.nextInt();
System.out.println("연산자");
String oper = sc.next();
int flame = 0;
int sv = 0;
/* if (oper.equals("+")) {
System.out.println(num1+"과"+num2+"의 합은"+ (num1+num2)+"이다.");
}
else if (oper.equals("-")) {
System.out.println(num1+"과"+num2+"의 차는"+ (num1-num2)+"이다.");
}
else if (oper.equals("*")) {
System.out.println(num1+"과"+num2+"의 곱은"+ (num1*num2)+"이다.");
}
else if (oper.equals("/")) {
System.out.println(num1+"과"+num2+"의 몫은"+ (num1/num2)+"이다.");
}else System.out.println("연산자 제대로 입력했니?");*/
if (oper.equals("+")) {
flame = num1+num2;
sv = sv+ 1;
}
else if (oper.equals("-")) {
flame = num1-num2;
sv = sv+1;
}
else if (oper.equals("*")) {
flame = num1*num2;
sv = sv + 1;
}
else if (oper.equals("/")) {
flame = num1/num2;
sv = sv +1 ;
}
else System.out.println("연산자 제대로 입력했니?");
if (sv == 1 )
{ System.out.println("네녀석의 숫자 2개 "+num1+"과 "+num2+"의 "+oper+" 연산 결과는 "+flame+"이다.");
}
}}
두개의 정수를 입력받고, 하나의 문자(연산자) 를 입력받아 조건문과 부합하는 연산결과를
출력하는 소스이다. sv는 스위치형 변수이며, 각 연산자의 연산이 끝난 후 두개의 값을 조건문 밖에서
작동시키기 위해 만들었다. [적용하지 않을 경우, 잘못된 연산자 입력에 대한 else와 하위 if문이 동시에 작동한다.
'Language > Java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복문(While)문 의 사용 (0) | 2020.12.29 |
---|---|
조건문 사용 (Switch) (0) | 2020.12.29 |
조건문 사용 (if, else, else if) (0) | 2020.12.28 |
자바 예제문제 [삼항연산자 응용] (0) | 2020.12.28 |
유용한 자바[이클립스] 단축키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