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ver/LinuxServer(Rocky Linux)

(16)
원격 접속 프로토콜 ( Telnet, OpenSSH ) 대부분의 리눅스 서버 운영체제는 필요에 따라 직접 사용되기도 하고 혹은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서버를 다루기 위해 원격 접속 프로토콜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원격 접속 프로토콜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 Telnet 】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원격 접속 방법으로, 패킷 암호화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텔넷 클라이언트로 직접 전송할 경우 스니핑, 세션 하이재킹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단, 속도가 빠르고 리눅스와 윈도우즈 양쪽 OS단에서 기본 지원하기 때문에 내부 네트워크에서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다. 윈도우즈 기본 기능에서 telnet을 활성화하면 원격지에 깔린 리눅스 서버와 telnet 통신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서버 - 클라이언트 구조로 작동하게 되므로 리눅스 패키지관리자를 이용해 te..
DNF ( Dandified Yum ) DNF는 rpm 명령어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edora 18 부터 고안된 패키지 매니저이다. dnf install [ 패키지이름 ] : 설치 dnf -y install [패키지이름] -y 옵션은 사용자 확인 yes로 간주 함. 『 명령어 』 dnf install [ rpm파일명 ].rpm : rpm파일을 설치한다. ( RPM 대용으로 호환되게끔 ) dnf check-update : 업데이트 가능목록확인 dnf update [ 패키지이름 ] : 해당 패키지를 업데이트한다 dnf remove [ 패키지이름 ] : 해당 패키지를 삭제한다. dnf info [ 패키지 이름 ] : 해당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한다. dnf groupinstall [패키지그룹이름] : 패키지 그룹 설치 ( ~ DB환..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RPM 은 레드햇 엔터프라이즈의 패키지 관리자이다. CentOS 설치 이미지에 제공되는 패키지를 보면 다음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보통의 패키지는 패키지명 - 버전 - 릴리즈번호 - 플랫폼 - 아키텍처 . rpm 으로 구성되어있다. 『 RPM 옵션 』 rpm -Uvh [패키지파일명].rpm : 설치, -U : 패키지 설치,업그레이드 -v : 설치과정 확인 -h : 설치진행과정을 "#"마크로 화면에 출력 rpm -e [패키지명] : 패키지 삭제 rpm -qa [패키지명] : 패키지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인자가 없을경우, 설치된 패키지 전부 출력 ) rpm -qf [파일절대경로] : 해당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rpm -qlp [패키지파일명].rpm : 패키지파일에 어떤파일들이 포..
하드 링크, 심볼릭 링크 경로 단축, 코드의 간결화등을 이용해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링크 기능을 지원한다. 파일에는 고유한 inode 번호가 주어지는데 ls 명령어의 i 옵션을 통해 다음과 같이 확인가능하다. 하드 링크 # ln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심볼릭 링크 # ln -s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두 링크 방식의 차이를 알기 위해 basefile에 두 가지 링크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basefile을 소실 시켰는데, softlink 방식에 문제가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드 링크 방식은 디렉터리 변경, rm 등으로 파일이 소실되었음에도 해당 파일의 내용을 표기하지만 심볼릭 링크 방식은 오류를 표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심볼릭 링크의 Inode는 원본 파일의 포인터이다. 2. 하드 링크는 원본 ..
Run Level - 부트레벨 Runlevel 명령어는 현재 리눅스 시스템의 실행레벨을 확인한다. 부트레벨 영문명 작동 비고 0 ( Init 0 ) Power Off 시스템 종료, halt, shutdown now 1 ( Init 1 ) Rescue 싱글모드, 복구모드 root만 사용가능, 콘솔로만 접근가능, 단일 사용자 모드 2 ( Init 2 ) Multi-User NFS 미지원 멀티유저 모드 3 ( Init 3 ) Multi-User NFS 지원 멀티유저 모드 4 ( Init 4 ) Multi-User 사용하지 않음, 사용자가 직접 지정가능 사용하지 않음 5 ( Init 5 ) Graphical X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되는 멀티유저 실행모드 6 ( Init 6 ) Reboot 서버 재부팅되는 모드, reboot 런레벨 모드는 /l..
쉘 스크립트
쉘 기능 【 리다이렉션 】 표준 입력 및 출력을 다른 장치로 재지정 함. > : 표준 출력에서 지정 출력으로 변경 >> : 표준 출력에서 지정한 출력으로 변경 및 추가 【 제어 연산자 】 ; &? & #등의 프로그램 종료코드 확인을 위한 연산자, 【 그룹 명령 】 || 혹은 ;, && 등을 통해 한 번에 여러개의 명령 입력 가능 ex : echo "one"; echo "two" 혹은 echo "one" && echo "two" 혹은 echo "one" || echo "two" ||의 경우 앞의 명령이 성공할 경우 해당 결과를 출력하고, 실패하면 그 다음명령어를..
쉘 단축키 모음 【 Default 】 【 화면 】 Ctrl + L : 화면 클리어 Ctrl + S : 화면 출력 멈춤 Ctrl + Q or S : 화면 출력 재개 【 커서 관련 】 Ctrl + A : 커서를 줄 맨 앞으로 Ctrl + E : 커서를 줄 맨 끝으로 Alt + B : 왼쪽으로 한 단어 [ 띄어쓰기 기준 ] Ctrl + B : 왼쪽으로 한 글자 Alt + F : 오른쪽으로 한 단어 [ 띄어쓰기 기준 ] Ctrl + B : 오른쪽으로 한 글자 【 자르기 관련 】 Ctrl + W : 커서 이전의 단어를 잘라 클립보드에 복사 [띄어 쓰기 구분 함] Ctrl + K : 커서 이후의 줄을 잘라 클립보드에 복사 Ctrl + U : 커서 이전의 줄을 잘라 클립보드에 복사 Ctrl + Y : 클립보드 내용 붙여넣기 【 삭제 관련 】 Ct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