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ver/LinuxServer(Rocky Linux)

하드 링크, 심볼릭 링크

경로 단축, 코드의 간결화등을 이용해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링크 기능을 지원한다.

 

파일에는 고유한 inode 번호가 주어지는데 ls 명령어의 i 옵션을 통해 다음과 같이 확인가능하다.

 

 

하드 링크

# ln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심볼릭 링크

# ln -s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두 링크 방식의 차이를 알기 위해 

basefile에 두 가지 링크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basefile을 소실 시켰는데, softlink 방식에 문제가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드 링크 방식은 디렉터리 변경, rm 등으로 파일이 소실되었음에도

해당 파일의 내용을 표기하지만

심볼릭 링크 방식은 오류를 표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심볼릭 링크의 Inode는 원본 파일의 포인터이다.

2. 하드 링크는 원본 파일과 똑같은 Inode를 가진다. 

'Server > LinuxServer(Rocky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F ( Dandified Yum )  (0) 2021.12.22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0) 2021.12.22
Run Level - 부트레벨  (0) 2021.12.21
쉘 스크립트  (0) 2021.03.10
쉘 기능  (0) 202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