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ver/LinuxServer(Rocky Linux)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RPM 은 레드햇 엔터프라이즈의 패키지 관리자이다.

CentOS 설치 이미지에 제공되는 패키지를 보면 다음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보통의 패키지는

패키지명 - 버전 - 릴리즈번호 - 플랫폼 - 아키텍처 . rpm 으로 구성되어있다.

 

『 RPM 옵션 』

 

rpm -Uvh [패키지파일명].rpm : 설치,
-U : 패키지 설치,업그레이드
-v : 설치과정 확인
-h : 설치진행과정을 "#"마크로 화면에 출력

rpm -e [패키지명] : 패키지 삭제

rpm -qa [패키지명] : 패키지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인자가 없을경우, 설치된 패키지 전부 출력 ) 
rpm -qf [파일절대경로] : 해당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rpm -qlp [패키지파일명].rpm : 패키지파일에 어떤파일들이 포함되었는지 확인
rpm -qip [패키지파일명].rpm : 패키지 파일 상세정보 확인

 

 

qlp 명령어는 해당 패키지 내의 파일을 조사한다.

 

 

 

다음과 같이 어떤 패키지를 설치할 때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그림에 설치하려는 mysql-errmsg 패키지는 mysql-common 설치를 선행 조건으로 요구한다.

이를 두고 의존성 문제라 한다.

 

해결 방법은 요구하는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이지만, 똑같이 의존성 문제가 일어나

작업이 지연될 수 있다.

 

이 의존성 문제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rpm 대신 yum, dnf등의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다. 

 

 

 

 

'Server > LinuxServer(Rocky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접속 프로토콜 ( Telnet, OpenSSH )  (0) 2021.12.30
DNF ( Dandified Yum )  (0) 2021.12.22
하드 링크, 심볼릭 링크  (0) 2021.12.22
Run Level - 부트레벨  (0) 2021.12.21
쉘 스크립트  (0) 2021.03.10